-
2-22. [SAP CO] 표준원가 추정(Standard Cost Estimate) - 개별
드디어 표준원가 추정(Standard Cost Estimate)를 설명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릴거라고는 생각 못했네요. 이전까지의 포스팅에서 표준원가를 추정하기 위한 필요한 것을 준비하였습니다. ① BOM의 자재소요량 ② 자재 계획단가 ③ 공정 표준사이클 타임 ④ 액티비티 계획 단가 위의 4가지만 있으면 표준원가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표준원가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표준원가 = 재료비 + 가공비 ② 재료비 = BOM 자재 소요량 * 자재 계획단가 ③ 가공비 = 공정 표준사이클 타임 * 액티비티 계획단가 위 내용은 몇번 반복해서 말씀을 드린 것 같습니다. 오늘은 SAP에서 4가지 정보를 확인하고, 실제 표준원가를 추정하고 그 결과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하나씩 확인해 보겠습니다...
2019.09.16
-
4-1. CO 결산 과정
회계는 외부공시 목적의 재무회계와 내부 관리 목적의 관리회계 2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CO 모듈은 그 중에서 관리회계에 해당합니다. 재무회계는 4대 재무제표(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등)를 확인하고, 관리회계는 손익계산서 중심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회사 전체의 손익이 아닌 제품 하나하나의 손익을 계산합니다. CO는 제품 손익을 확인하기 위해 제품 하나하나의 원가, 즉 품번별 제조원가를 계산합니다. CO의 결산과정은 '제품별 제조원가를 계산'하여 제품별 매출액과 연계하여 '제품별 손익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어떤 제품은 수익이 발생하고, 어떤 제품은 손실이 발생하는지 확인하여 수익이 발생하는 것은 수익을 더 높을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손실이 발생하는 것은 수익을 내기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2020.06.10
-
3-2. [MM(자재)] 입고 문서 조회
지난 포스팅에 이이서 이번에는 자재 입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실제 입고하는 트랜잭션은 MM 모듈에서 잘 해 줄거라 믿고, 입고가 완료된 후 문서를 확인하는 방법을 확인하겠습니다. 그 전에 SAP의 전표에 대해서 먼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또또 이상한 곳으로 빠지네요.--;) 전표.. 영어로는 Document입니다. 전표라고 해서 별다른 것은 없고 그냥 문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재 입고라는 트랜잭션을 실행하고 나면 여러가지 문서가 생성됩니다. 이 문서가 전표(Document)입니다. 어떤 전표들이 발생할까요? ① 입고 트랜잭션을 실행했으니 입고 관련된 자재 문서(Material Document)가 생성됩니다. ② 입고는 회계상의 거래입니다. 그래서 이와 관련한 회계 전표(Accounting D..
2020.02.10
-
1-10. SAP CO 내부오더(Internal Order)
지금까지 코스트센터 회계 영역의 CO 기준정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원가요소, 코스트센터, 액티비티 유형, 통계주요지표... 4가지를 설명했네요..^^ 오늘은 내부오더(Internal Orde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놈의 내부오더는 이해하기가 쉽다가도 매우 어렵습니다. ^^; 적어도 저는 그랬습니다. 1. 내부오더 내부오더는 이벤트, 특별성 경비를 별도로 집계하기 위한 CO Object입니다. 이렇게만 이해하면 아주 간단하고 쉽습니다. 뭐 이렇게 간단해.... 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커다란 함정이 있습니다. --; 이벤트, 특별성 경비 종류가 엄청나게 다양하다는 것입니다. (하하하.. 그저 웃지요..^^) 예를 들면, 체육대회 같은 각종 행사 비용 집계, 개발비용 집계,..
2019.06.27
-
1-1. SAP CO 개요 및 구성요소
저는 현재 다니는 회사에 입사하면서 처음으로 SAP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지원한 팀은 회계팀이었는데 왜 이런데를 보냈을까? --; 많이 실망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지금 돌이켜보면 회사에서는 저에게 아주 좋은 기회를 제공한 것이였습니다. 그 당시에는 SAP가 한창 Boom을 일으키던 시기였는데 저만 그걸 몰랐던 것입니다. (지금 생각하면 부끄럽기 짝이 없습니다) 어쨌든 입사하자말자 SAP를 접하게 되었고, SAP PI를 거치고 프로그램 개발의 '개'자도 몰랐던 문과 출신인 제가 ABAP개발까지 하게 이르렀습니다. SAP 중에서 제가 맡은 것은 CO 모듈입니다. 5가지 모듈 중 왜 하필 CO 모듈을 맡았을까요? 처음에는 아무것도 몰랐기에 그냥 SAP의 회계 파트 중 하나인 CO를 하라고 해서 막..
2019.04.15
-
3-5. [PP(생산)] 생산실적 - MFBF(Backflush, 백플러시)(1)
지난 포스팅까지 자재 입고와 송장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재 입고 및 송장에서 CO에 반영되는 것은 수불부(자재원장, CKM3)와 가격차이가 CO Object에 반영되는 것 2가지 입니다. 그외 여러가지 입고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CO Object로 반영되지만, 기본적인 것만 알고 확인하는 방법을 알면 다른 입고 유형에 대해서 CO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충분히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자재에 이어서 생산과 CO와의 관계를 알아보겠습니다. 생산과 관련된 첫번째 포스팅으로 생산 실적 처리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저는 반복제조방식(Repetitive Manufacturing)만 알고 있어 이 부분만 설명드리겠습니다. (오더 방식으로 생산실적 처리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부분은 ..
2020.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