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SAP CO랑 놀기
검색하기

블로그 홈

SAP CO랑 놀기

soma7321.tistory.com/m

SAP CO 모듈의 기본 개념 및 시스템의 구조/로직을 설명합니다.

구독자
181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SAP CO 전자책 출간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3-21. [SD(판매)] 대금청구(Billing) 날씨가 엄청 더워졌네요. 코로나 때문에 마스크를 하고 있는데, 숨쉬는 것이 예전보다 더 힘들어졌습니다. 이 시기가 빨리 지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다들 힘내시기 바라면서, 오늘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까지 판매오더, 납품 및 출고전기에 대해서 확인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SAP 판매업무 마지막 단계인 '대금청구(Billing)'를 설명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트랜잭션은 영어명칭도 마음에 들고, 한글 명칭도 마음에 듭니다. Billing.. 고객에서 돈을 달라고 청구서를 발행하는 것입니다. 대금청구 역시 고객에서 제품을 납품한 댓가(대금)를 지불해 줄것을 청구하는 행위입니다. 트랜잭션 명칭과 행위가 바로 설명이 됩니다. 더 이상 설명할 것이 없네요. ^^; 대금 청구 말 그대로 돈을 달라고 하.. 공감수 5 댓글수 5 2020. 6. 5.
  • 3-20. [SD(판매] 출고전기(Good Issu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공감수 1 댓글수 8 2020. 6. 4.
  • 3-19. [SD(판매] 판매오더 PP(생산) 모듈과 CO와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네요. 이번 포스팅부터는 SD(판매) 모듈과 CO와의 관계를 설명하겠습니다. SD(판매) 모듈의 목적은 고객에게 제품을 판매하는 것입니다. 판매 업무도 여러 종류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업무는 생산에서 만든 제품을 고객에게 납품하고, 그 대금을 청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SAP에서 판매처리하는 업무를 순서대로 알아보고, 각 단계별로 발생하는 회계(FI, CO) 전표를 확인하여 회계 모듈(특히 CO) 모듈과의 관계를 확인하겠습니다. 우선 SAP의 판매 처리 단계를 간단히 알아아보겠습니다. 1. 판매오더 생성 (Sale Order) ① 고객의 주문서를 확인하여 그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② 고객, 유통경로, 제품군(Division)별로 .. 공감수 3 댓글수 2 2020. 6. 3.
  • 3-18. [PP(생산)] 백로그(Backlog)(4)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6. 2.
  • 3-17. [PP(생산)] 백로그(Backlog)(3)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6. 1.
  • 3-16. [PP(생산)] 백로그(Backlog)(2) 이제 5월도 거의 다 지나갔네요. 생각해보니 블로그를 시작한지 1년이 넘었네요. 대략 계산해보니 블로그의 글을 일주일에 1개 정도 작성했네요. 좀더 자주 작성하고 싶은데 맘처럼 되지 않네요. 반성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지난번에 이어 백로그에 대해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발생한 백로그 문서를 확인하여 정상의 백플러시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회계 문서, CO Report 및 자재원장(Material Ledger(ML) - CKM3)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1. 백로그 발생한 문서 조회 (T-Code : MFBF) 가. 지난 포스팅에서 '백로그' 메시지 확인한 후 화면입니다. 나. 자재문서번호를 확인하고 '문서' 버튼을 클릭합니다. 2. 문서로그 조회 (T-Code : MF12) 가. 백.. 공감수 1 댓글수 0 2020. 5. 25.
  • 3-15. [PP(생산)] 백로그(Backlog)(1) 코로나19 시작과 함께 블로그 작성이 멈추었네요. --; 두달 가까이 마스크를 껴서 이제 한 몸처럼 느껴지지만, 그래도 약간의 불편함은 남아 있네요. 다들 건강 잘 챙기시길 바라겠습니다. 이놈의 귀차니즘은 언제쯤 사라질지...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이럴 때마다 제 글을 봐주시는 분들께 미안한 마음이 듭니다. 댓글로 많이 응원해주셔서 다시 힘을 내어 글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까지 백플러시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백플러시 과정에서 발생하는 Issue를 하나 말씀드리겠습니다. 바로 '백로그(Backlog)'입니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뒷 메시지' 정도. 앗.. 메시지도 영어네요. '뒷 기록' 이 맞겠네요. ^^; 농담처럼 들리겠지만, 백로그의 의미를 알게되면 이름을 잘 지.. 공감수 4 댓글수 0 2020. 5. 22.
  • 3-14. [PP(생산)] 액티비티 백플러시(2) 이번 포스팅은 액티비티 백플러시 후 관련 문서와 CO Report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 마지막에 말씀드린 것처럼 액티비티 백플러시 후에는 자재문서 및 회계 전표가 없습니다. 공수를 등록하는 것이기에 자재 수불과는 무관하여 자재문서가 없습니다. 아울러 시간의 투입은 회계상의 거래가 아니기에 회계전표 역시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CO에서는 시간이 투입되었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비용을 인식해야 합니다. 물론, 실제 비용은 아니며 대략적으로 이정도의 비용이 발생할 것이다라는 Target 금액입니다. (Target 비용 = 실제 액티비티 투입 시간 * 생산 직접 코스트센터의 액티비티 계획단가) 하나씩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문서 로그 조회 (T-Code : MF12 ) ① '구성부품 백..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3. 22.
  • 3-13. [PP(생산)] 액티비티 백플러시(1) 이번 포스팅은 하나의 질문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 무엇일까요? 질문이 약간 애매하긴 하네요. 앞에서 설명드린 백플러시를 기준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재료가 필요합니다. 재료는 원재료, 부재료, 부품 등 다양합니다. 이런 재료들만 있으면 자동으로 제품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재료들을 가지고 기계를 가동하여 제품을 생산합니다. 그럼 기계는 자동으로 움직일까요? 재료는 자동으로 투입될까요? 기계를 셋팅하고 가동하고 점검/수리하는 사람이 필요하고 재료를 구매하고 보관/운반하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설계도를 만드는 사람도 필요합니다. 즉, 재료도 필요하지만 기계와 사람의 노동력이 필요합니다. 기계와 사람의 노동력을 액티비티(공수..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3. 21.
  • 3-12. [PP(생산)] 구성부품 백플러시(2)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공감수 0 댓글수 4 2020. 3. 19.
  • 3-11. [PP(생산)] 구성부품 백플러시(1) 요즘 코로나19 때문에 회사에 출근하지 않고 재택근무를 하는 곳이 많아졌네요. 아무리 재택근무하는 곳이 증가해도 생산 현장은 어쩔 수 없이 출근을 해야 합니다. 제품을 생산해야 판매를 하고, 판매한 수익으로 우리가 월급을 받을 수 있으니까 생산이 아주 중요합니다. ^^ 코로나19가 널리 퍼지고 있음에도 묵묵히 생산 현장에서 일하시는 분들께 감사드리며, 오늘은 PP 모듈 MFBF의 구성부품 백플러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성부품 백플러시는 생산할 제품(FERT, HALB)의 구성부품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구성부품은 BOM에 포함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게 무슨 뜻일까요? ① BOM는 생산이 기준정보인데 업종에 따라서 100% 정확하게 만들기가 쉽지 않습니다. 단순 조립 공.. 공감수 2 댓글수 2 2020. 3. 18.
  • 3-10. [PP(생산)] 조립품 백플러시-스크랩(2)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3. 16.
  • 3-9.[PP(생산)] 조립품 백플러시-스크랩(1)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생산 실적 처리 방법과 CO와의 관계를 설명하겠습니다. 양품을 생산했을 때 조립품 백플러시(Assembly Backflush)를 실행합니다. 그러면, 불량이 발생했을 때 SAP에서는 어떻게 처리를 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 제품(FERT, HALB)의 불량이 발생했을 때 SAP에서 처리하는 방법과 각종 문서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그 전에 불량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성부품(ROH)이 아닌 완제품(FERT)의 불량을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완제품 불량도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①첫번째 공정불량입니다. 제품 생산하는 과정에 불량으로 판정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제품 생산을 완료했지만 품질 검사 과정에 불량임을 알아채고 불량으로 등록을 합니다. 그러면, 완제품 재고는 증가하지.. 공감수 1 댓글수 0 2020. 3. 10.
  • 3-8. [PP(생산)] 조립품 백플러시(2)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공감수 2 댓글수 2 2020. 3. 4.
  • 3-7. [PP(생산)] 조립품 백플러시(1) CO 모듈은 실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이 없습니다. 모두 다른 모듈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모아서 말 그대로 관리(Controlling)하는 것입니다. 지난 포스팅까지 자재 입고와 CO의 관계, 생산의 실적등록(백플러시)과 CO 관계를 설명하였습니다. 그런데, SAP 화면없이 글로만 설명을 해서 정확한 전달이 되지 않았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 부터 생산의 백플러시를 SAP 화면과 함께 확인해 보겠습니다. CO는 특성별 손익을 관리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특성별 손익을 관리하기 위해서 품번별 제조원가를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품번별 제조원가와 가장 연관이 있는 모듈이 생산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생산 모듈과 CO의 관계를 명확하게 이해해야 보다 합리적인 제품 제조원가를 산.. 공감수 5 댓글수 0 2020. 3. 3.
  • 3-6. [PP(생산)] 생산실적 - MFBF(Backflush, 백플러시)(2) 지난 포스팅에서 반복제조 백플러쉬(REM backflush) 중에서 조립품 백플러시와 액티비티 백플러시를 설명하였습니다. 사실 제품을 생산하는 입장에서 보면 위의 기본적으로 조립품/액티비티 백플러시 2가지만 실행하면 생산 실적이 등록된다고 생각합니다.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생각해 보면... 일단, 재료가 필요합니다. BOM 기준으로 제품을 생산할 때 필요한 재료가 투입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런 재료를 이용하여 기계를 가동하여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기계는 누가 가동시킬까요? 사람....^^ 사람은 단순히 기계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사람이 직접 조립을 하는 경우도 있고, 재료를 투입하는 활동도 합니다. 생산이 완료된 제품을 운반하기도 합니다. 즉, 제품을 생산하.. 공감수 3 댓글수 0 2020. 3. 2.
  • 3-5. [PP(생산)] 생산실적 - MFBF(Backflush, 백플러시)(1) 지난 포스팅까지 자재 입고와 송장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재 입고 및 송장에서 CO에 반영되는 것은 수불부(자재원장, CKM3)와 가격차이가 CO Object에 반영되는 것 2가지 입니다. 그외 여러가지 입고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CO Object로 반영되지만, 기본적인 것만 알고 확인하는 방법을 알면 다른 입고 유형에 대해서 CO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충분히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자재에 이어서 생산과 CO와의 관계를 알아보겠습니다. 생산과 관련된 첫번째 포스팅으로 생산 실적 처리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저는 반복제조방식(Repetitive Manufacturing)만 알고 있어 이 부분만 설명드리겠습니다. (오더 방식으로 생산실적 처리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부분은 .. 공감수 12 댓글수 10 2020. 2. 26.
  • 3-4. [MM(자재)] 입고/송장문서 -가격차이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공감수 5 댓글수 9 2020. 2. 24.
  • 3-3. [MM(자재)] 송장 문서 조회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자재 송장 문서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송장 문서 조회는 입고문서 조회가 비슷하니 별 어려움없이 확인하실 수 있을겁니다. 먼저 구매오더 문서에서 시작해 보겠습니다. 1. 구매오더 조회(T-Code : ME23N) 이전 포스팅에서 조회한 구매오더와 동일한 구매오더입니다. 아래 '구매오더 이력' Tab에서 물품대 송장검증 항목 위에 있는 자재전표가 송장문서입니다. 송장도 1개의 구매오더에 여러번의 문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는 1개의 구매오더에 1개의 송장처리를 한 것입니다. 자재전표를 더블클릭하시면 송장문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2. 송장문서 조회 송장은 일반적으로 공급업체를 기준으로 한꺼번에 처리합니다. 한달동안 하나의 공급업체에서 100개의 부품을 여러번에 걸쳐.. 공감수 8 댓글수 5 2020. 2. 17.
  • 3-2. [MM(자재)] 입고 문서 조회 지난 포스팅에 이이서 이번에는 자재 입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실제 입고하는 트랜잭션은 MM 모듈에서 잘 해 줄거라 믿고, 입고가 완료된 후 문서를 확인하는 방법을 확인하겠습니다. 그 전에 SAP의 전표에 대해서 먼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또또 이상한 곳으로 빠지네요.--;) 전표.. 영어로는 Document입니다. 전표라고 해서 별다른 것은 없고 그냥 문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재 입고라는 트랜잭션을 실행하고 나면 여러가지 문서가 생성됩니다. 이 문서가 전표(Document)입니다. 어떤 전표들이 발생할까요? ① 입고 트랜잭션을 실행했으니 입고 관련된 자재 문서(Material Document)가 생성됩니다. ② 입고는 회계상의 거래입니다. 그래서 이와 관련한 회계 전표(Accounting D.. 공감수 10 댓글수 9 2020. 2. 10.
  • 3-1. [MM(자재)] 구매오더 조회 정말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다른 일이 많아 정신없이 보내기도 했지만, 그 보다는 귀차니즘을 이겨내지 못 했습니다. 오늘부터 이 귀차니즘을 한번 벗어나고자 글을 씁니다. 원래는 내부오더에 대한 글을 쓰려고 했는데, 얼마전에 자재원장(CKM3)을 어떻게 확인하는지 문의하신 분이 계서서 물류 흐름과 CO 결산과정을 먼저 설명하려고 합니다. CO 결산 과정에 앞서 SAP 물류 흐름과 그에 따라 발생하는 전표를 확인하고, CO Report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먼저 알아 보겠습니다. 물류 흐름은 말로 설명하면 아주 간단합니다. 제조업이니까.... 생산에 필요한 자재를 구매(매입)해서(MM) 제품을 생산하여(PP) 고객에게 납품합니다(SD) 더 이상 필요할까요? ^^ 필요한 자재가 어느 업체에서 구매할 수 있는지.. 공감수 15 댓글수 0 2020. 2. 8.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